미국주식

더 허쉬 컴퍼니

meriweder 2022. 7. 21. 10:58
반응형
SMALL

1857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에 있는 데리 타운십(기독교 교단 중 하나인 메노나이트 신앙을 가진 고동체가 모여 살고 있었는데 그들 중에 스위스 출신 헨리 허쉬와 독일 출신의 파니 스네이블리 허쉬 부부가 있었는데 1857년 9월 13일 한 남자아이가 테어나는데 밀턴 스네이블리 허쉬(Milton S. Hershey), 그는 커서 허쉬 초콜릿을 만든 창업자이며 자선사업가이며 미국의 초콜릿의 자존심입니다. 결혼 후 어머니 파니 허쉬의 금전적 도움으로 아버지 헨리 허쉬는 여러 사업에 뛰어들지만 다 망하면서 극심한 가난이 찾아옵니다. 1862년에는 밀턴 허쉬의 여동생인 세라나가 태어나지만 5년 만에 선홍 열로 사망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밀턴 허쉬의 부모님은 별거를 하게 됩니다. 아버지 헨리 허쉬를 따라 사업차 여러 곳을 따라다녀야 했던 밀턴 허쉬는 학교교육도 제대로 받지 못했던 밀턴 허쉬는 13세가 되던 해에 학교를 자퇴하게 됩니다. 밀턴 허쉬는 본인이 좋아하고 관심 갖고 있는 것은 사탕 만들기였습니다. 어머니 파니 허쉬의 도움으로 밀턴 허쉬는 펜실베이니아주 랭커스터의 유명한 사탕 장인인 조셉 로이어 밑에서 일을 배우게 됩니다. 그렇게 밀턴 허쉬는 사탕 만들기 기술을 터득할 수 있었습니다. 1876년 4년간의 사탕 제조기술을 터득한 밀턴 허쉬는 어머니의 동생인 마티 이모에게 150달러를 빌려 필라델피아 중심부로 가서 사탕가게(M. S. Hershey)를 오픈하게 됩니다. 어머니의 성실함을 배운 밀턴 허쉬는 사탕가게를 최선을 다해 운영했지만 사업의 성공은 쉬게 오지 않았습니다. 아버지 헨리 허쉬는 아들의 사업 성공을 위해 새로운 사탕 케비넷(Hershey's Cabinet Candy)을 제안했고 아버지로부터 사탕 케비넷 특허권까지 구입했다고 합니다. 열심히 일했던 미턴 허쉬는 1881년에 사탕가게는 파산하게 되고 아버지 헨리 허쉬가 있는 콜로라도주 덴버에서 아버지와 함께 지내게 됩니다. 밀턴 허쉬는 신선한 우유로 캐러멜을 만드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또한 캐러멜은 한번 팔리기 시작하면 대랴으로 팔린다는 것을 안 밀턴 허쉬는 거처를 일리노이주 시카고로 옮겨 캐러멜 가게를 오픈하게 됩니다. 처음에는 캐러멜이 아주 잘 팔렸지만 3년 만에 또다시 폐업하게 됩니다. 밀턴 허쉬는 이에 굴하지 않고 다시 뉴욕으로 가서 다시 한번 캐러멜 가게를 오픈하게 되지만 또다시 망하게 됩니다. 이쯤 되면 가게 창업을 잊고 종업원으로 들어가서 창업비를 모을 것 같은데 1886년 다시 펜실베이니아주 랭커스터로 와서 은행에서 대출을 다시 받아 캐러멜 가게를 오픈하게 됩니다. 하늘이 도왔는지 영국에서 온 한 신사가 밀턴의 캐러멜 가게를 찾아와서  밀터 허쉬가 만든 신선한 우유로 만든 캐러멜 사탕 하나를 맛본 후에 밀터 허쉬에 캐러멜을 대량으로 영국으로 수입하기로 했는데 이 매출은 은행 대출을 다 갚고도 수익이 많았습니다. 이후 1890년대 초 밀턴 허쉬의 캐러멜 가게는 공장도 세우게 되고 직원수를 1,400명을 거느리게 되는 큰 기업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1893년 밀턴 허쉬는 세계 콜럼버스 산업 박람회에 참석하게 되는데 여기서 독일 초콜릿 제조기로 만든 초콜릿을 하나 먹어보고 초콜릿에 매료되어 독일 초콜릿 제조기를 구입하게 되고 기존의 캐러멜 제품에 초콜릿을 입힌 제품을 하나씩 선보이게 됩니다. 밀턴 허쉬는 초콜릿의 가능성을 보고 본인의 캐러멜 회사를 경쟁업체에 100만 달러를 받고 매도하게 됩니다. 이후 밀턴 허쉬는 자신의 고향 펜실베이니아주 데리 타운십으로 돌아와서는 새로운 초콜릿 공장을 짓기 위해 넓은 농지를 구입 후 초콜릿에 대해 공부하기 시작합니다. 1,900년대 당시 초콜릿은 대부분 네슬레가 있는 스위에만 있었는데 초콜릿이 고가라 미국 일반인들은 사 먹기가 힘들었습니다. 초콜릿을 만들기 위해서는 우유, 설탕과 카카오가 적절한 비율로 섞여야 하는데 스위스에서는 그 황금비율을 가르쳐 주질 안아서 직접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열심히 배합과 최상의 초콜릿 제조를 위해 3년간의 긴 연구를 하게 되고 자신만의 밀크 초콜릿 레시피를 만들게 됩니다.

 

최초의 허쉬 초콜릿의 탄생

1903년 3월 2일 드디어 밀턴 허쉬는 사놓은 땅에 세계에서 제일 큰 초콜릿 공장을 짓는다는 마음으로 공장시설 공사를 하기 시작합니다. 또한 밀턴 허쉬가 사들인 땅 주위로 소를 방목해 키우는 농장이 많이 있어서 신선한 우유를 대량으로 저렴하게 공급받을 수 있었습니다. 1905년 밀턴 허쉬의 초대형 초콜릿 공장은 2년 만에 완공되었고 밀크 초콜릿 생산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름은 허쉬스 바로 이는 미국 전역에 초콜릿 최초로 엄청난 판매고를 올리며 초콜릿 대량생산이라는 원가 절감과 제품 단가를 낮추고 이윤 극대화까지 동시에 따라오게 됩니다. 1898년 밀턴 허쉬는 뉴욕에 한 사탕가게에서 만난 캐서린 스위니라는 여성과 결혼했지만 1907년 10년 동안 아기가 생기지 않아서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았고 두 부부는 우울증이 심각하게 왔고 자연히 허쉬사의 직원 복지로 눈을 돌리게 되었고 주위에 땅을 사서 허쉬타운을 만들어 교회, 학교, 직원 주택, 병원, 공원 등을 만들어고 심지어 허쉬타운 내에 교통인프라까지 만들어 한 마을을 만들어 직원들의 복지, 업무효율 향상에 힘쓰는 과 동시에 수영장 컨벤션 홀 놀이공원까지 만들어 허쉬타운을 미국의 한 작은 도시 수준으로 바꿔 놓습니다. 1909년 허쉬 부부는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가난한 청소년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기 위해 쉬 산업학교를 세우게 되는데 많은 가난한 학생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주에 사회에 봉사할 수 있게 주었습니다. 하지만 1911년 밀턴 허쉬의 부인, 캐서린의 건강악화로 프랑스와 독일에서 요양을 하고 있었지만 계속 허쉬사를 비울 수 없어서 1911년 12월 18일 당시 제일 큰 유람선 회사 화이트 스타 라인의 타익타닉의 탑승권을 샀지만 승선하지 못하고 그전인 1912년 4월 6일 날 독일 라이너 아메리카호를 승선에 일찍 미국에 도착하게 됩니다. 불행히도 1912년 4월 14일 타이타닉호는 빙산의 부딪혀 침몰하게 되었습니다. 1915년 아낸 캐서린 이 지병으로 세상을 떠나게 되었고 1945년 밀턴 허쉬도 생을 마감할 때까지 허쉬 부부는 가난한 학생들의 학교를 후원하고 수익금을 사회에 환원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습니다. 1951년 밀턴 산업학교는 밀턴 허쉬 학교로 이름을 변경하게 되었고 지금까지도 밀턴 허쉬 학교는 가난한 학생들 위해서 미국에서 가장 부유한 기숙학교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전투식량의 허쉬 초콜릿 

2차 세계대전 때 사용된 초콜릿으로 만든 비상용 전투식량인 디레이션(D-RATION)은 전쟁이 일어나기 전에 미 육군 사령관 폴 로건의 지시의 의해 4온스의 고칼로리의 32도에서도 녹지 않아야 하며 삶은 감자보다도 조금 맛있어야 한다느 조건으로 개발되고 생산되었고 후에 더 맛있게 생산되며 허쉬스 트로피컬 초콜릿(Hershey's Tropical Chocorate)으로 이름까지 바뀝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30억 개 이상이 팔렸습니다.

키세스(KISSES)

1894년 펜실베이니아 월버WILBUR'S사의 초콜릿 회사에서 월버버드(Wilbur Buds)라는 눈물방. 모양의 초콜릿이 출시되었고 하지만 대량생산이 아니었던 월터 버드 초콜릿은 제품 수량은 적고 제품 가격이 비쌌습니다. 밀턴 허쉬는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가격을 낮출 수 있었기 때문에 월버 초콜릿처럼 소량의 생산을 위해 몰드판 위에 만드는 것보다 생산량이나 단가면에서 큰 차리가 났습니다. 문제는 몰드판 없이 어떻게 눈물방울을 만드냐인데 1907년 드디어 키스 에스 초콜릿을 컨베이어 판 위에 "쪽" 하고 소리를 내면서 눈물 모양이 갖추어지게 위에 대량의 짜개 노즐을 설치해 돌아가는 컨베이어 벨트 위로 하나씩 짜 나가는 방식의 설비를 마친 후 케스 에스는 탄생하게 됩니다. 1921년 밀턴 허쉬는 허쉬스 키스 에스(Hershey's Kisses)라는 이름으로 상표를 등록하고 특허권을 침범당하지 않게 했습니다. 크기가 직사각 바보다 작았기 때문에 하나씩 개별 포장해서 고객들이 하나하나 손으로 만지고 벗겨 먹을 수 있게 했습니다. 케스 예스는 손으로 직접 싸는 개별 수공 작업을 했는데 1921년는 키스 예스 전용 포장기계가 만들어져 자동화로 전환되었습니다. 1962년에 키스 예스는 고객들에게 더 다가가기 위해 평소에는 은색 포일 포장인데 크리스마스 시즌 기간 동안 빨강과 녹색 포일로 변신했고 1986년 밸런타인 시즌에는 빨강과 핑크색 포일의 키스 예스가 출시되었습니다. 다른 종류의 키스 예스가 출시되는데 다크, 아몬드, 캐러멜, 민트, 체리, 쿠키 등 각각의 맛과 다른 색의 포일로 출시되었고 2007년에는 키스 예스 100주년 기념으로 30,540파운드(13,853kg) 무게에 초대형 키스 예스 메가 카스를 전시했는데 이는 기네스북에도 세계에서 제일 큰 키스 예스 초콜릿으로 등제되어 있습니다. 또한 키스 예스는 펜실베이니아 키스 예스 공장에서 24시간 연중무휴로 메일 8천만 개 이상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결론 

북아메리카의 최대의 초콜릿 제조업체이자 미국을 대표하는 초콜릿 회사로써 무려 110년을 넘는 역사를 가진 허쉬 초콜릿(나 스탁 상장 기업: HSY)은 2005년 4월까지 허쉬 푸드 회사(Hershey Food Corporation)였으며 이후 더 허쉬 컴퍼니로 바뀌어 쓰고 있습니다. 허쉬 초콜릿은 키스에스를 비롯 허쉬 리세스, 프리첼(Pretzels)등 여러 자회사가 존재합니다. 이번 허쉬를 공부하면서 이 기업의 가치는 이미 1907년 밀턴 허쉬의 의해 증명되었고 밀턴 허쉬 같은 인물이 미국이 있었다는 것은 지금의 미국이 왜 세계 최대 경제대국이 될 수밖에 없다는 이유이며 이런 밀턴 허쉬의 기업가 정신을 아직까지 지키고 있는 전 세계 60개국 이상에 수출하는 있다는 허쉬 사에 깊은 감명을 받았고 왜 미국인들이 끝까지 가져가야 할 미국 주식이 허쉬라고 말하는지 미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식품기업 중 하나가 허쉬인지 이번 기회에 깊이 알게 되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현재 허쉬사의 주가는 215.06달러(2022년 7월 20일 기준)이며  52주 최저는 91.78달러(2018년 5월 4일 기준)며 52주 최고가는  231.60달러(2022년 5월 6일 기준)입니다. 배당률은 1.66%로 배당금도 존재합니다. 여러 주식 애널리스트들은 이미 많이 올랐다고 중립을 표하지만 저는 계속 가져가야 할 미국 주식이라 단연코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반응형
LIST